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언어치료사 되기53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육에서 포괄적 교실(Inclusive Classroom)의 차이 필자는 현재 Disability Services Consultant로 카운티에서 일하는데, 단순히 SLP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발달 장애나 교육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에 대한 포괄적 교육을 장려하는 일을 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당연하게 여겨지는 이런 포괄적 교실 및 교육이 한국에서는 보기 힘들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국과 비교해봤다. 1. 포괄적 교실(Inclusive Classroom)이란?포괄적 교실은 장애를 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이 함께 학습하는 환경을 의미하며, 모든 학생이 동등한 교육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모델이다. 이는 개별 아동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각자의 필요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유아교육 단계에서 포괄적 교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 2025. 2. 19.
2025년에도 알아보는 미국 TOP25 직업 (SLP는 몇위?)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찾는 것은 자신의 전문적인 기술, 학문적 강점, 그리고 직장에서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몇 가지 보편적인 특성들이 직업을 즐겁고, 중요한, 그리고 지속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준다. 이러한 요소들은 강력한 미래 전망, 높은 임금 잠재력, 그리고 안정적인 고용 기회를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모두 2025년 U.S. News Best Jobs 순위에 반영되었다.2025년 최고의 직업을 순위별로 매기기 위해 U.S. News는 의료, 기술, 엔지니어링, 건설 등 다양한 산업의 직업들을 평가했다. 이 평가에는 중위 연봉, 예상 성장률, 실업률 등 여러 가지 요소가 포함되었으며, 각 지표에 대한 데이터는 미국 노동 통계국에서 제공된 것이다.올해 순위에서는 의료, 기술, 그.. 2025. 2. 12.
SLP의 현실과 전망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간략하게 올려본다. 한국의 사정과 많이 다른지 모르겠지만 대체적으로 나는 만족하는 편이다. 커리어 자체의 만족감도 있지만 박사과정 같은 더 높은 고학력이 아니더라도 전문직으로서 대우를 받으며 일할 수 있다는 점이 좋은 것 같다. 미국 내 좋은 직업 TOP 10에 꾸준히 드는 이유가 있기도 하지만 어떤 점이 좋은지 한번 정리해봤다.1. 미국 언어치료사(SLP)의 직업 개요언어치료사(Speech-Language Pathologist, SLP)는 의사소통과 삼킴 장애를 겪는 환자들을 평가하고 치료하는 전문직이다. 미국에서는 병원, 학교, 재활센터, 노인 요양 시설 등 다양한 환경에서 SLP가 활동하며, 특히 어린이 및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2. 미국 SLP의 직업 .. 2025. 2. 12.
Case By Case (언어치료 아동별 진척/효과/발달) 이제 본격적으로 아이들을 치료한지 시간이 꽤 지난 상황에서 이 직업의 꽃이라고 하면 말이 느리고 못하던 아이들이 유창하게 말을 한다거나 발음이 안되는 친구가 발음을 성공적으로 해서 Intelligibility가 굉장이 높아진다던지 하는 경우이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고 나면 사람인지라 어떤 아이가 있었지? 내가 어떤 걸 주로 했었지? 하는 걸 잊어버리게 되는데 그런 경우 다시 쉽게 찾아보고자 이제부터 이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게다가 많은 아이들이 각자 다른 성향과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례들이 쌓이다 보면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특히 많은 부모들이 '우리 아이는 왜 이럴까요?', '다른 아이들도 이런가요?' 라는 질문을 많이 하는데 많은 아이들이 그렇다는 걸 알고 나면 안심하는 경우도.. 2023. 11. 20.
언어치료 센터 오픈하기 (how to open SLP private practice) (feat. Chatgpt) 최근들어 Chatgpt가 전세계적으로 아주 뜨겁다. 지금껏 새롭게 선보인 기술들은 의심의 눈초리와 몇번의 시도를 거쳐서 오랜시간 사람들 사이로 스며들고 파고들었다면, 이제는 새로운 기술이 순식간에 전세계에 퍼지는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는 걸 느낄 수 있다. Chatgpt가 아주 좋은 사례인데, 뉴스를 통해보면 구글이나 페이스북이 사용자 1억명 달성에 각각 8년, 2년 3개월 정도가 걸린 반면에 이 Chatgpt는 고작 2개월만에 사용자 1억명을 돌파했다고 한다. 물론 과거와 다른 인프라와 인터넷 환경이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이 속도는 가히 충격적이다. 성능이나 효과를 의심할 새도 없이 사용해봤다. 1억명이라는 숫자와 그 속도가 이미 증명해주지 않았는가. 언어학을 공부한 나로서는 이 언어기반 AI가 낯설지만.. 2023. 2. 10.
미국에서 언어치료사로 일하기 - 1. Private practice 지난한 과정을 거쳐서 SLP가 됐고 라이센스 취득후에 바로 일을 하기 시작했는데, 마지막 학기에 Externship을 했던 곳에서 계속해서 CF (Clinical Fellowship) 까지 하게 됐다. 졸업후에 임시로 자격증이 나오는데 그걸 RPE라고 하고 그 과정동안 일정시간을 다른 SLP감독하에 채워야하는데 그렇게하고 나서 최종 신청을 해서 CCC (Certificate of Clinical Competence) 를 자격증을 부여받는다. CF 과정은 1250시간을 채워야하는데 이는 풀타임으로 일했을때 9개월이 걸리는 과정이다. 그 사이에 총 3번 중간 평가를 거쳐야하고 다 완수하면 ASHA에 Application을 보내 최종 자격증을 신청하면 된다. 앞선 포스팅에 각 Work place 별 장단점을 .. 2023. 1. 30.
미국 언어치료사 직장별(Therapy setting) 장단점을 알아보자 미국에서 언어치료사로 일하기 시작할 무렵 많은 고민을 하게되는데, 미국에서는 다양한 곳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대표적으로 몇가지가 있는데 알아보도록 하자. 필자는 졸업하기 직전에 실습을 한 Private Practice에서 계속해서 일하게 되었는데, 다른 곳에서 일해본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리서치를 해봤는데 흥미로운 점들이 있어서 정리해본다. 일단 어떤 Therapy Setting들이 있는지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1. School 2. Private Practice - In home 3. Private Practive - Clinic 4. Hospital 5. University 먼저 (공립)학교를 알아보자. 장점 스케쥴: 검색을 많이 하다보면 가장 많이 언급하는 장점은 주로 Flexibl.. 2022. 11. 26.
RPE (Required professional experience) License 드디어 받다. Communicative Disorders 대학원을 졸업하고 그 다음에 해야할 일이 바로 RPE 라이센스를 신청해서 받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기준) 이 임시(?) 자격증이 있어야지 캘리포니아에서 합법적으로 언어치료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실 지난 6월달에 보통우편으로 집 앞에 설치되어있는 Outgoing 메일박스에 Application을 보냈는데, 한달이 지나도록 감감 무소식인데다 전화를 해서 확인해도 받은 게 없다는 말에 곧 바로 두번째 Application 을 Certified Mail 로 보냈다. (한국으로 치면 등기우편 같은) 결국 7월 18일에 도착했다는 이메일을 받고나서야 안심했는데, 6월에서 8월은 5월에 졸업하는 사람들의 모든 신청이 몰리는 시기이기 때문에 접수하고.. 2022. 9. 3.
졸업 후 해야할 일들 (RPE License 신청) Praxis까지 통과했으니 누가보면 다 끝난것 같이 보였지만 실상은 그게 아니었다. 캘리포니아 주정부에 내가 공식적으로 학교를 마치고 실습을 마쳤으니 임시 자격증을 달라는 서류를 보내야한다. Required Professional Experience (RPE) 라고 불리는 이 절차는 임시자격증을 가지고 합법적으로 캘리포니아에서 풀타임의 경우 36주, 파트타임의 경우 72주 동안 SLP라이센스를 가진 사람 감독아래서 임상경험을 쌓아야 한다. 졸업하면 자동으로 CF(Clinical Fellowship)의 타이틀이 주어지지만 캘리포니아의 경우에는 왜인지 주정부에서의 허가를 먼저 득해야지만 임상경험을 쌓을 수 있다. 실제로 CF와 RPE의 임상경험 시간 조건은 동일하다. 그럼 어떤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지 살펴보.. 2022. 7. 7.
언어치료사 자격시험 (ETS PRAXIS) 후기 이제 모든 실습을 마치고 졸업까지 했으니 자격증을 신청해야한다. 자격증을 신청하면 임시(temporary) 자격증이 나오는데, 그 자격증을 가지고 본격적으로 CF(Clinical Fellowship)를 시작할 수 있다. 보통 풀타임으로 일한다고 가정했을때 9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데, 그 안에는 Praxis 시험을 보고 기준점수를 넘은 결과를 Board에 보내야한다. 일반적으로 졸업을 하기전에 시험을 보는 친구도 있고 나처럼 졸업직후에 보는 사람도 있는데, 졸업전후에 최대한 빨리 보는 걸 추천한다. 조금이라도 머릿속에 지식이 남아있을때(?) 봐야지 조금이라도 귀찮아서 시간을 지체해버리면 잃어버리는건 순식간이기 때문이다. 자 그럼 시험을 어떻게 등록하고 신청하는지 알아보자 1. Registration P.. 2022. 6. 29.
졸업시험 통과 그리고 졸업식 오랜시간 동안 공부했고 준비했던 노력이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 3월 중순쯤 졸업여부를 결정하는 졸업시험이 있었다. 총 2가지 시험을 통과해야하는데 하나는 Obejective exam, 다른 하나는 Oral Defense exam이었다. 전자는 말 그대로 객관식 시험이었다. 4지선다형 문제가 150문제정도 나오는데 결과나 합격점수는 알려주지 않는다고 한다. 3시간 정도 시간을 들여서 시험을 봤고 시험을 보기전에 과 친구들과 예상문제를 내보고 서로 비교해보고 노트정리한 것들을 비교하면서 준비한 것이 많은 도움이 됐다. 결과는 잘 모르겠지만 준비했던 만큼 쉬운것도, 생소한 어려운것들도 있었다. 모든 친구들이 Advanced review of speech language pathology라는 책을 처음부터 끝까.. 2022. 6. 13.
뇌의 구조와 기능 - 언어 측면에서 분석해보기 가장 흔하게 나오는 질문중에 하나가 바로 대뇌피질과 두뇌에 관련된 위치 및 역할 등에 대한 것이다. 배운지 오래되기도 했고 헷갈리는 부분도 있어서 정리하고자 한다. 1. Frontal Lobe (전두엽) 전두엽은 그림에 보이듯이 대뇌에 가장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전두엽은 사람의 의식적인 행동을 지배하고 조종하며 계획을 세우는 역할을 한다. 전두엽에 손상을 입은 사람들은 계획대고 정돈된 활동을 의식적으로 하는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전두엽은 특히 언어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바로 Primary motor cortex, supplementary motor cortex, 그리고 그 유명한 Broca's area가 전두엽에 있기 때문이다. Primary motor cortex는 자발적인 근육의 움직임을 조.. 2022. 2. 1.
Cranial Nerves 손상에 따른 언어장애/검사 방법 이제 마지막 학기만 남았다. 마지막은 실전훈련과 더불어서 최종 지식을 점검하는 수업이 기다리고 있다. 아이들을 주로 상대하는 집에서 가까운 센터에서 Externship을 하면서 마지막 수업을 듣고 최종적으로 시험과 Oral Defense라고 불리는 인터뷰를 마치고 나면 나의 기나긴 여정의 끝이 어느정도 보이게 된다. 마지막 Oral Defense와 시험을 대비해서 배운것을 정리해보자. (한국어로 정리해놓으면 조금 기억이 오래갈 것 같다.) 그 중에서 가장 잘 물어보고 또 외우기 어려운 Cranial Nerves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Cranial Nerves는 총 12개의 신경이지만 그 중 언어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기관(주로 얼굴근육, 혀, 인후두 등)들을 관장하는 몇가지 신경에 대해서 알아보.. 2022. 1. 25.
미국 공립학교에서 실습해보기 (언어치료사 체험) 이제 석사 수업을 듣기 시작한지도 3년이 됐다. 대부분의 수업을 이제 들어서 남은 건 거의 실습뿐이다. 그 중에 클리닉이나 Private Practice를 할 수 있는 곳에서 일을 해보는 Externship이 있고, 미국 공립 초등학교에서 실습을 할 수 있는 Student Teaching이라는 과정이 있는데, 이번학기에는 Student Teaching을 듣게 됐다. 지금 다니고 있는 대학교가 LAUSD 즉, LA통합교육구(?)와 협력을 맺어서 석사공부중인 학생들을 한학기 동안 실습을 할 수 있게 해주고 LAUSD입장에서도 SLP의 일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으니 서로 윈-윈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나처럼 한국에서 모든 정규 교육과정을 마치고 미국으로 넘어온 사람에게는 미국의 공립학교의 제도나 분위기가.. 2021. 10. 5.
운동성 말 장애(Motor speech disorder)중 마비 말 장애(Dysarthria)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금껏 굉장히 많은 수업을 들어왔는데, 성적이 걱정했던 것 보다는 비교적 선방하고 있었다. 그런데 유일하게 나에게 C+을 안겨준 수업이 있었으니 바로 이 Motor Speech Disorder쪽이었다. 한국말로는 운동성 말 장애. 희한하게도 해부학(Anatomy), 신경학(Neurology) 쪽으로 들어가면 알아듣기가 어렵고 버거웠다. 강의를 하다가 다른생각이라도 해서 놓치면 다른 수업들은 슬라이드를 나중에 보고 따라갈 수 있지만 이런 수업들은 사실 쉽지 않다. 그래서 몇번이고 최대한 보려고 노력하지만 처음에는 잘 이해되지 않았고 몇번의 노력이 들어가야지만 이해가 조금씩 되곤 했다. 그래서 방학이고 사실 시간은 많이 없지만 틈나는대로 이곳에 한국말로 적어보면서 정리를 해놓자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야 기억.. 2021. 6. 24.
비유전적 청력손실 원인 앞서 포스팅에도 언급했듯이 청력손실의 원인은 크게 유전적, 비유전적인 원인으로 나눠지는데, 그 중 유전적인 원인이 50%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비율이 높다. 나머지 50%는 주로 환경적인 요인이 25%이고, 특발성(개인 고유의 성질 또는 원인을 모르는 경우)이 25%를 차지한다고 한다. 비유전적인 청력손실을 불러일으키는 요인들 중에 잘 알려진 것들을 살펴보자. 산모 감염 - 풍진(독일 홍역), 거대 세포 바이러스, 헤르페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조산, 저체중 출생, 출생시 부상, 임신 중 산모가 섭취하는 약물 및 알코올을 포함한 독소, 모성 당뇨병, 임신 중 독성(전조증), 산소 부족(무산소 증) 등이 있다. 조산 여기에서 말하는 조산은 37주가 안된 상태에서 아이를 출산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런 경우의 아.. 2020. 10.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