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치료사 되기53 스피치 바나나를 알아보자 (Speech banana) 언어학을 배우면 반드시 거쳐가는 것이 음성학이다. 기본중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데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론 중 하나가 바로 스피치 바나나이다. 스피치 바나나는 도표상에서 소리를 주파수와 데시벨로 표현했을때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의 자음, 모음을 표시하면 바나나 모양의 분포를 이룬다해서 스피치 바나나라고 불린다. 표를 보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보면 알 수 있지만 밑으로 내려갈수록 소리의 세기(데시벨, dB)가 올라간다. 그리고 오른쪽으로 갈 수록 소리의 주파수 (헐츠, Hz)가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데시벨은 말 그래도 소리의 세기이기 때문에 얼마나 큰소리가 나는지를 표현한 것이고 헐츠는 소리의 피치를 나타낸다. 주파수가 큰 소리를 주로 고음이라고 표현한다. 예를들어, 새가 지저귀는 소리.. 2019. 6. 28. 보완대체 의사소통 -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실습을 총 4명의 아이들과 하는데 우연히도 그 중 2명의 아이들이 뇌성마비(Cerebral Palsy)이다. 이 친구들은 중증의 근육마비 증상으로 조음기관을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움직임도 어려운 친구들이다. 머리를 조금 움직이거나 눈동자를 움직일 수 있는 정도가 전부다. 이 친구들이 말을 할 수 없다고 해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말로써의 의사소통이 어려운 친구들을 위해서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보완대체 의사소통이다. AAC로 불리는 이 의사소통 방법은 한국에 있을때는 전혀 알지 못했다. 관심 분야가 아니라면 쉽게 접할 수 없기도 하고 한국에서는 뇌병변을 앓고 있는 친구들이 주변에 잘 보이지 않기도 하다. 1. AAC (Augmentative and Alternati.. 2019. 6. 26. 실행증에 의한 언어장애 (Speech of Apraxia) 최근에 한 히스패닉 계열의 아이를 상대로 Therapy를 시작했다. 학교에서 하는 거라 나 같은 학생은 학기마다 환자를 돌본다. 그래서 그 아이에 대한 정보는 그 전에 치료를 담당했던 다른 학생의 정보를 많이 참고한다. 내가 새로 돌보게 된 아이는 Apraxia, 한국말로 실행증 진단을 받았다. 다른 친구들은 뇌성마비이거나 발음에 문제가 있는 아이들이어서 대략 어떻게 할지 알 수 있는데, 실행증은 도무지 감이 잡히지가 않았다. 발음(Articulation)의 문제인가 싶다가도 음운(phonology)인식 의 문제 같아 보이기도 하다. 발음 교정을 해나가다 보면, 생각지도 않던 발음을 틀리거나, 혹은 계속 틀리던 발음을 언제 그랬냐는 듯 잘하기도 한다. 그래서 실행증에 대해 좀 더 공부를 해봤다. 1. 실.. 2019. 6. 22. /s/를 /th/로 발음하는 문제 아이들을 보다보면 /s/를 /th/로 발음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도 대표적인 연예인이 있는데 그는 바로 노홍철 잘 모르는 상태에선 웃기려고 그러나 싶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근육이 그렇게 기억하고 있는 상태에서 쉽게 고치기란 어른이 되어서도 쉽지가 않다. 그만큼 어렸을때 잘 훈련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s/나 /th/발음은 상대적으로 나중에 습득되는 자음이긴하다. 그럼 가장 큰 차이는 뭘까? /s/와 /th/소리는 둘다 Fricative(마찰음)에 속한다. 구강에 생기는 틈으로 미세한 기류가 통과하면서 내는 소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둘의 차이는 바로 혀의 위치에 있다. /s/는 당연히 혀가 윗니의 뒷부분의 단단한 잇몸에 가 있어야하고, /th/는 혀가 위,아래 치아사이.. 2019. 6. 21. 미국에서 언어치료사 되기 미국에서 언어치료사는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좋은 직업중에 하나다. 한국이랑은 완전히 다르게. 언어치료사는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 부터 치료, 나아가서는 환자 가족의 상담사 역할까지 폭 넓은 일을 한다. 한국에서는 언어재활사가 환자의 외상으로 인한 언어장애를 치료하는 이미지가 강한 반면에, 미국에서는 일반 아동들과 특히 이중언어 구사자의 발달 지연부터 자폐증, 실어증, 상실증, 다운증후군, 소아마비, 말더듬 등 다양한 원인으로 찾아오는 환자들을 상대해야한다. 그 만큼 많은 공부와 실습이 필요하며, 그 만큼 대우도 좋은 편이다.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그 나라언어와 문화를 완벽하게 이해하는 언어치료사를 찾기도 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미국은 언어치료사에 대한 수요가 엄청나게 많다. 가장 유명한 구인,.. 2019. 6. 18.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