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0 영, 유아기 청력에 대한 중요성 아이들에게 청력이 왜 중요할까? 몇 가지 수치들을 보자. 1. 1000명 중 3-5명의 아이들이 태어나면서 선천적, 영구적으로 양쪽의 청력을 잃는다. 2. 미국에서는 매일 33명의 아이가 영구적인 청력손실을 가지고 태어난다. 3. 1000명 중에 3명은 영유아 시기에 완전히 청력을 잃어버린다. 4. 영구적 청력손실을 가진 아이들 중 92%가 청력에 문제가 없는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다. 5. 미국에서는 매년 12,000명의 아이가 태어나면서 청력손실을 가지고 태어난다. 6. 영아기에 강도높은 간호에 시간을 많이 보낸 아이일수록 청력손실 가능성이 크다. 영유아기에 청력손실은 당연히 언어발달이나 학습부진, 행동장애, 사회적, 감정적 스킬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귀의 생리해부학적 측면 귀를 크게 세가지로 나.. 2020. 10. 20. 미국에서 자리잡기 - 2020년 미국 주별 세일즈 택스 비교 미국에 살면서 주를 이동하는 일이 많이 없긴 하지만 그래도 가끔은 다른주에 방문할 일이 생기곤 한다. 미국은 연방(나라 전체)에서 관리하는 법이나 제도도 많지만 아무래도 땅 덩어리가 크기 때문에 각 주별로 자체적인 제도를 가져가는게 더 많다. 그 중에서 조금 도드라지게 차이가 나는게 바로 Sales Tax인데, 위의 지도는 각 주별 세일즈 택스를 표시해 놓은 지도이다. 주 안에서도 각 County별로 또 세율(Local sales tax)이 다르기 때문에 위의 수치는 각 County별 전체 세율을 평균을 낸 값을 합산한 값이라고 보면된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가 8.66%의 세일즈 택스로 표기되어 있지만(그래도 주 세율만 놓고 보면 캘리포니아가 가장 높다), 아무래도 사람들이 많고 발달한 LA쪽은 택스.. 2020. 10. 20. 미국에서 자리잡기 - 무인마켓의 미래 아마존고 체험기 몇일전에 생일 겸 오랜 친구를 만나러 시카고에 갔다가 우연히 아마존고(Amazon go)매장을 가게 됐다. LA에 사는 나로서는 이야기로만 전해들은 터라 마치 전설같은 존재였는데, 이번에 체험할 겸 바로 그 자리에서 아마존고 앱을 다운받아서 들어가봤다. 앱은 당연히 아마존고를 검색하면 되고,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아마존 프라임멤버아이디로 로그인하면 된다. 미국은 아마존 프라임멤버가 없는 사람이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매장에 들어가면 간단한 식료품과 술 등을 팔고 있었는데, 술과 와인같은 종류는 또 한번 스캔을 해서 들어가게 끔 분리가 되어있었다. 한국의 편의점처럼 간단한 것들을 팔고 있었는데, 부리토나 샐러드 같은 간편한 음식들이 있어서 식사를 해결하기도 좋았다. 모든 건 일반 편의점, 마켓과 동일.. 2020. 10. 19. 미국 영주권 받기 - 10월 취업영주권 문호 영주권을 받고 나서 한참이 지났지만 왠지 모르게 영주권 문호에 대한 관심은 계속해서 가지고 있다. 일단 기본적인 이민자들에 대한 정부의 기조나 태도를 알 수 있어서 예의주시하는 것도 있고 주변에 영주권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나도 관심을 갖게 되는 것 같다. 먼저 승인가능일을 보자. A. 승인가능일 Employment- based All Chargeability Areas Except Those Listed CHINA- mainland born INDIA MEXICO PHILIPPINES 1st C 01JUN18 01JUN18 C C 2nd C 01MAR16 01SEP09 C C 3rd C 01JUL17 15JAN10 C C Other Workers C 01DEC08 15JAN10 C C .. 2020. 10. 14. 음성장애 (Voice Disorder)에 대해 알아보자 - 2편 저번 포스팅에서 음성장애 중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유형인 Phonotrauma에 대해서 알아봤다. 이 음성장애는 주로 성대의 오, 남용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번에는 선천적인 기질이나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음성장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음성 장애 (Voice Disorder)에 대해서 알아보자 음성장애는 주로 성대를 오용, 남용함으로써 발생하는 Phonotrauma, 질병이나 기질상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Organic, 근육 긴장등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발성장애(Functional), 심리적인 문제등으로 음성�� komerica-man.tistory.com 먼저, 질병의 종류를 알아보면, 1. 접촉 궤양이나 육아종(Contact ulcers & Granulomas) 2. 전염성 후두염(Infectio.. 2020. 10. 8. 2020년 미국 Best 20 직종 - 언어치료사는 몇위일까?(Feat. Glassdoor) 작년에 간단하게 미국에서의 직업순위는 어떻게 될까 알아본적이 있다. 포스팅을 해놨는데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봤다. 올해도 어김없이 미국의 대표적인 Job Search 회사인 Glassdoor가 발표한 미국의 직업순위가 있어서 가져와봤다. 올해도 역시 언어치료사의 순위는 어떻게 될지 한번 살펴보자. 먼저 작년에 올렸던 포스팅을 보면서 순위변화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보면 좋을 것 같다. COVID-19가 작용한 결과인지는 모르겠지만, 예상으로는 여전히 Medical 쪽이 굳건하게 상위를 지키지 않을까 싶다. 2019년 미국 직업 순위 - 언어치료사는 몇위일까 한국에서는 당연하리만큼 학교를 졸업하면 공기업, 대기업만 바라보면서 취업전선에 뛰어든다. 그 불나방(?) 같던 시절을 보내면서 남들과 비교해서 자랑하거나.. 2020. 10. 6. 후두 검사방법 (Mirror, Transnasal Flexible Endoscopy, Videostroboscopy 등) 후두를 검사하는데 있어서 직접 살펴보는 것 만큼 확실한 것은 없다. 그래서 여러가지 후두를 관측하고 촬영하는 방법이 있는데 앞서 포스팅 했던 것처럼 후두의 상태를 직접 살펴볼 수 있는 방법이다. 흔하게 우리가 말하는 내시경인데, 원시적인 것부터 가장 최신의 것 까지 소개하는 내용이 수업에 있어서 나열해보도록 하겠다. 간단한 것부터 시작해보자 1. Laryngeal Mirror Exam 이름 그대로 후두를 비추는 거울, 후두경이다. 1855년에 개발되었고 아주 전통적인 방식이다. 지금도 간단하게 많이 쓰고 있는 방법으로 불빛을 비춰서 후두의 전체적인 형태를 관찰할 수는 있지만 성대의 진동특성이라든지 아주 세밀한 진단에 사용하기는 어렵다. 2. Transnasal Flexible Endoscopy 이름 그대.. 2020. 10. 6. 음성 장애 (Voice Disorder)에 대해서 알아보자 음성장애는 주로 성대를 오용, 남용함으로써 발생하는 Phonotrauma, 질병이나 기질상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Organic, 근육 긴장등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발성장애(Functional), 심리적인 문제등으로 음성치료에서는 알아낼 수 없는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Psychongenic, 상후두신경(RLN), 반회후두신경(SLN)의 신경적인 문제 혹은 뇌의 손상으로 인한 Neurological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고 흔하게 접할 수 있는 Phonotrauma Disorder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1. Vocal fold nodules (성대 결절) 성대의 지속적이고 계속된 오용 및 남용으로 인해서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과도한 소리지름, 큰소리로 말하기, 소리지르기가 꽤 오랜시간 .. 2020. 10. 3. 태아기에 소음과 난청의 관계 최근 영유아기의 난청에 대해서 배우고 있어서 간단하게 최근 검색한 연구결과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물론 영유아기의 난청에 대해서 배우지만 최근에는 태아기때의 소음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찾아봤다. 보통 아이를 임신한 경우에 아이에게 어떤 종류의 음악과 소리를 들려줘야할지 고민은 하지만 아이가 소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한다는 통념은 상대적으로 약한 것 같다. 조금 오래된 연구이긴 하지만 그전부터 태아기의 아이가 소음에 노출되었을때의 영향에 대한 글과 연구는 많이 있었다. 아이를 이제 준비하는 입장에서 아이가 없어본 사람에게는 태아기의 소음에 대한 노출은 다소 생소한 주제이긴 하다. 2012년의 한 연구에서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아이가 일정한 dB이상, 그리고 반복된 소음에 노출되면 청력, .. 2020. 9. 12. 미국에 집사기 - LA 근교 첫 집 어디에 장만하는게 좋을까? (OC편) 밸리와 엘에이 지역을 봤는데 첫 집으로 적당한 곳은 엘에이 중심부보다는 다소 벗어난 곳이 가격면에서도 그렇고 훨씬 낫다는 결론이 난다. 하지만 밸리지역의 단점들을 생각하면 또 다른 곳으로 눈이 돌아가게 되는데 그래서 고려하는 곳들이 바로 LA 카운티에서 벗어난 오렌지카운티 또는 샌버나디노 카운티다. 오렌지카운티는 엘에이의 동남쪽 샌버나디노카운티는 엘에이의 동쪽으로 뻗어있다고 보면 된다. 1. 플러튼 (Fullerton) 오렌지카운티는 한국사람들이 살기에는 최적의 위치로 각광받으면서 그 주가가 나날이 오르고 있는 지역이다. 그 중 핵심지역이 바로 플러튼이다. LA카운티에서 충족되지 않는 것 중 하나가 아이의 교육이 달려있는 학군인데, 플러튼의 학군은 좋기로 유명해서 한국 아주머니들의 이주가 아주 빠르게 진.. 2020. 9. 2. 미국에 집사기 - LA 근교 첫 집 어디에 장만하는게 좋을까? (LA 편) 저번에 이어 이번에는 LA지역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애초에 LA시내가 아닌 밸리나 오렌지카운티 등 다른 지역으로 눈을 돌리는 이유는 '살기 좋아서' 이지만, 일자리라든지 많은 상권이 몰려있는 LA를 왜 사람들이 질려하고 싫어하는지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적나라하게 나올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A카운티 안에 (밸리지역 제외) 어느지역이 괜찮은지 다시한번 살펴보도록 하겠다. LA 지역 1. Hancock Park (West Los Angeles) 핸콕팍은 LA안에서도 한인타운(좌), 베버리힐스, 웨스트할리우드(우) 등으로의 접근이 좋고 무엇보다도 3가에 있는 학교들이 우수해 학군이 좋은 걸로 유명하다. 동네도 안전하고 깨끗하고 도로도 넓고 어느하나 빠지는 게 없을 정도로 좋은 곳이다. 다른 곳에 비.. 2020. 8. 30. 미국에 집사기 - LA 근교 첫 집 어디에 장만하는게 좋을까? (밸리지역 편) 미국에 본격적으로 살기 시작한지 이제 3년이 되어간다. 그 동안 많은 일들이 있었는데 (학교에 들어가고, 취업도 하고, 영주권도 받고, 견진, 혼배성사도 하고 등등) 무엇보다 자리를 잡아가면서 제일 먼저 하고 싶었던게 다름아닌 첫 집 마련의 꿈이었다. 미국은 렌트비가 너무 비싸서 생활비의 절반가까이를 집값으로 내기 때문에 너무 아까웠기도 했고 내 집이 있다는게 또 이방인(?)으로서 자부심이 생길까 싶기도 했다. 그래서 어떻게 집을 구할 수 있을까를 좀 미리 알아보기도 했는데 (링크삽입) 그러고 나니 어디로 이사를 가야할지가 조금 막막했다. 미국에서 자리잡기 (40) - 미국에서 집 구매하기 아직 좀 이른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부부가 둘이 어느정도 고정된 수입이 있는 경우, 제일 먼저 정리하고 싶은것이 렌.. 2020. 8. 28. 미국에서 자리잡기 - 코로나 구제 2차 현금지원 필자는 지난 2월에 영주권을 극적으로(?) 취득하고 얼마지나지 않아 코로나 사태로 일을 더이상 못하게 되었었다. 2달정도 지나고 나서 미국 행정부는 나름 발빠른 조치로 모든 합법적 신분의 국민에게 현금지원을 시작했다. 유학생 등의 외국인은 당연히 제외되고 영주권자 이상에게만 주어지는 현금지원이었다. 겨우겨우 영주권도 막차를 탔는데, 운이 좋게도 현금지원도 받게 되었다. 그래도 실제로 돈이 들어올까 했었는데 4월이 지나서 5월쯤 실제로 통장에 금액이 찍히고 나서 안도를 했던 기억이 난다. 최근 정부에서 협상을 통해 2차 현금지원이 구체화되고 막바지 작업이 진행중이라는 뉴스를 봤다. 이번에도 인당 1200불의 현금이 자동입금의 형태로 직접 지급될 것이고 적어도 8월말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급을 받을 것이라.. 2020. 8. 4. 미국에서 자리잡기 - 응급시 갈 수 있는 어전트케어(Urgent care) 유학생으로 미국에서 지내기란 쉽지가 않다. 타지에 나와서 가장 힘들때가 바로 몸이 아플때라고 하는데 미국에선 특히, 몸이 아프면 몸보다 돈 걱정이 앞설 정도로 의료비가 비싸기로 유명하다. 물론 유학생은 당연히 보험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하기 때문에 학교안에 있는 Health Center 같은 시설은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 문제는 학교내 병원은 병원이라기 보다는 약간 보건소같은 느낌으로 기초적인 진료나 치료에 그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나도 어금니에 때웠던 게 떨어져 나가는 바람에 학교내 병원을 이용한 적이 있었다. 큰 학교에 비해서 시설이 하나이다 보니 예약을 하고 진료하는데까지 3주나 걸렸다. 그렇게 오래걸려서 찾아가서 이를 때웠는데, 그 다다음날에 그냥 떨어져 나가버렸다. 진료하고 치료하는데 .. 2020. 7. 29. 미국에서 자리잡기 - 드디어 In-state 학비 적용받다! 앞서 영주권 취득 후에 학비에 대한 부담을 줄여보고자 In-state 학비를 어떻게 하면 적용받을 수 있을지 살펴봤다. 예전에 포스팅했던 글을 참고 미국에서 자리잡기 (24) - 주립대에서 In-state 학비 적용받기 영주권을 받으면 해야할 일들이 많지만, 무엇보다 가장 먼저해야할 일이 바로 학교에서 학비를 In-state학비로 적용받는 것이다. 가장 나의 Priority로 생각하면서 여러가지 정보를 찾아본 결과를 �� komerica-man.tistory.com 부모가 같이 살지 않는 경우에 특히 필자처럼 나이를 먹을만큼 먹고 온 경우에는 제일 중요한 것이 스스로의 자급자족을 증명하는 것이었는데, 가장 강력한 증명수단은 당연히 세금신고를 한 내역일 수 밖에 없다. 그것도 1년 이상의 자료를 요구하는 .. 2020. 7. 22. 미국에 집사기 - 미국에서 집 구매하기 아직 좀 이른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부부가 둘이 어느정도 고정된 수입이 있는 경우, 제일 먼저 정리하고 싶은것이 렌트생활이 아닐까 싶다. 물론 그것에 연연하지 않고 렌트만으로 사는 미국사람들이 부지기수지만 특히 한국사람, 아시아사람들의 경우에는 내집장만이 인생에 있어서 큰 목표이자 당연히 해야하는 과제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아시아계의 부동산 업자들이 상대적으로 상당히 많은 이유가 거기에 있다고들 한다. 막연하게 집을 사보고자 마음은 먹었지만 어디서부터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기때문에 많이 물어보고 시행착오도 많이 겪어야 했다. 간단하게나마 내가 겪은 것들과 알게된 것들을 캐쥬얼하게 여기에 기록해, 어려워하는 사람이 봐도 이해가 되기 쉽게 한번 해보려고 한다. 가장 먼저해야 할 일은 뭘까 일반적으.. 2020. 7. 21.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 반응형